2015년 10월 넷째주 공과 - (초등부용) 배신할 건가요?

by admin posted Oct 22,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10월 25일: 배신할 건가요? >

 

1. 무엇을 가르칠까?

 

본문

호세아 10장 9-15절

암송 구절

호세아 10장 12절

학습 목표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받은 은혜를 기억하고, 더욱 하나님을 따르길 원하세요.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들을 감사해요.

내가 받은 은혜를 기억하고, 더욱 하나님께 순종해요.

 

1. 하나님의 은혜: “에브라임은 마치 길들인 암소 같아서 곡식 밟기를 좋아하나(11절)” 길들였다는 것은 잘 훈련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특별한 은혜를 입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율법과 계명을 받았고, 선지자와 제사장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교육받고 훈련받았습니다. 또한 소가 곡식 밟기를 좋아한다는 것은 소가 곡식을 밟으며 알맹이를 깔 때, 그 곡식을 자유롭게 먹을 수 있었음을 말합니다(신 25:4). 그 정도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풍족함을 베푸셨고 강성함을 허락하셨습니다.

 

2. 이스라엘의 배신: 그러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를 잊어버리고 그분을 배신했습니다. 풍요로워짐으로 도리어 자신의 힘을 의지하며 우상을 숭배하는 자들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모세의 예언을 생각하게 합니다. “네가 살찌고 부대하고 윤택하매 자기를 지으신 하나님을 버리며 자기를 구원하신 반석을 경홀히 여겼도다(신 32:15).” 이스라엘은 사사시대 기브아 불량배들 사건 때 동족상잔의 전쟁을 일으킬 만큼 극도로 패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들은 하나님을 떠나 우상을 숭배함으로 심판과 징벌을 받게 되었습니다. “너희는 악을 밭 갈아 죄를 거두고 거짓 열매를 먹었나니, 이는 네가 네 길과 네 용사의 많음을 의지하였음이라(13절).” 그들은 자신의 강성해짐을 의지하여 교만해졌고, 세상의 원리를 따라 주변 강대국들(앗수르, 이집트 등)을 의지하며 살았습니다.

 

3. 하나님의 징계: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의 배신을 철저하게 징계하실 것을 경고하셨습니다. 여호와는 공의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자기 백성이라도 그 죄를 그냥 넘기지 않으시며, 또한 사랑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자기 백성을 징계하시더라도 다시 돌이키기를 원하십니다. “내가 원하는 때에 저희를 징계하리니 저희가 두 가지 죄에 걸릴 때에 만민이 모여서 저희를 치리라(10절).” 하나님께서는 정하신 심판의 때에, 이스라엘은 과거 기브아에서 지은 죄와 현재의 불의한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맹렬한 진노를 받을 것입니다. 기브온 사건 때는 베냐민 지파만 죽임을 당하였고 나머지 지파는 그대로 존속되었지만, 이제는 그때와 달리 이스라엘 전체의 타락한 죄로 인해 하나님께 온전한 심판을 받고 그때의 베냐민 지파처럼 패망할 것이라 경고하셨습니다.

“내가 그 아름다운 목에 멍에를 메우고 그의 위에 사람을 태우리니 유다가 밭을 갈고 야곱이 흙덩이를 깨뜨리리라(11절).” 이전에는 암소로 하여금 가벼운 상태에서 자유롭게 곡식을 먹으며 풍족하게 하셨지만, 이제는 무거운 멍에를 메우고 사람을 태워 통제하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징계하여 고통스럽게 하시며, 그들이 더 이상 불순종의 길을 가지 못하도록 제어하실 것입니다. 남유다는 심판을 받아 고통 중에 거하게 될 것이고, 야곱이라 칭하는 북이스라엘은 멸망을 당해 포로로 잡혀갈 것입니다. “너희 백성 중에 요란함이 일어나며 네 산성들이 다 훼파되되... 벧엘이 이같이 너희에게 행하리니 이스라엘 왕이 새벽에 멸절하리로다(14-15절).” 대적의 침공으로 인해 이스라엘에는 큰 난리와 법석이 일어날 것입니다. 그들은 벧엘에서의 우상 숭배로 인해 패망을 당할 것이며, 그들의 왕은 햇빛에 의해 새벽이 물러가듯 갑자기 멸망할 것입니다.

 

4. 하나님의 회복: 한편 이와 같이 철저하고도 맹렬한 심판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또다시 이스라엘에게 은혜를 약속해 주십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키면 그들을 용서하시고 은혜를 후하게 갚아주신다고 기회를 주십니다. “너희가 자기를 위하여 의를 심고 긍휼을 거두라. 지금이 곧 여호와를 찾을 때니 너희 묵은 땅을 기경하라. 마침내 여호와께서 임하사 의를 비처럼 너희에게 내리시리라(12절).” 이것은 죄악 가운데 방치해 두었던 과거의 마음을 돌이키고, 새롭게 변화하라는 회개의 촉구입니다. 이스라엘이 돌아오기만 한다면, 하나님께서는 하늘에서 비를 내리듯이 의(義)의 은혜를 풍족하게 내리실 것을 약속해 주셨습니다. 하늘의 비는 땅을 촉촉하게 적시고 모든 생물들에게 생수를 공급해 줍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는 회개한 자기 백성을 그의 은혜로 풍성하게 적시며, 그들에게 생명과 구원을 넘치게 주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내개 베풀어 주신 은혜는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은혜를 잊지 않고 기억하며, 감사와 순종으로 화답하기를 바랍니다.

 

 

2. 어떻게 가르칠까?

 

1) 한 눈에 보기

 

(1) 준비물: 펜

 

순서

구성

제목

준비물

1

소개

주제

(제목, 본문, 암송구절)

-

2

도입

밭 가꾸기

늑대의 배은망덕

3

말씀 보기

씨앗 심기

이스라엘의 배은망덕

4

말씀 이해

꽃 피우기

은혜를 잊었어요

5

적용

열매 맺기

은혜를 기억해요!

6

기도

기도하기

 

-

(2) 순서 및 구성

 

 

2) 자세히 보기

 

(1) 소개

 

➀ 제목 읽기: 오늘의 제목은 “배신할 건가요?”에요.

➁ 본문 읽기: 성경을 찾아 같이 읽어보겠습니다. 호세아 10장 9-15절이에요.

➂ 암송 구절: 이번 주 외울 말씀은 12절이에요.

 

(2) 밭 가꾸기: 늑대의 배은망덕

 

** 활동 목적: 아이들이 좋아하는 이솝우화를 통해 배은망덕이 뜻이 무엇인지 재미있게 익혀 봅니다. 하나님께 대한 이스라엘의 배신이 그와 같은 것임을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➀ 질문: 이솝우화 <늑대와 학> 이야기를 아나요? 이솝우화를 읽은 후, 늑대의 행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세요.

➁ 대화: 내레이터, 늑대, 학 역할을 나누어 이야기를 읽어 보세요. “늑대가 고기를 급히 먹다가 뼈가 목에 걸렸습니다. 늑대는 쩔쩔매다가, 학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이봐, 내가 목에 뼈가 걸려서 죽을 지경이네. 자네의 긴 부리를 내 입에 넣어 뼈를 좀 빼내어 주게나. 사례는 후하게 하겠네!“ 학은 늑대의 목에서 가시를 빼내 주었습니다. 그리고 약속한 대로 사례를 요구했습니다. 그랬더니 늑대가 크게 화를 내며 학에게 덤벼들었습니다. ”무엇이 어쩌고 어째? 야, 이 은혜도 모르는 학아! 지나가는 사람에게 물어 보아라. 늑대 입 속에 머리를 넣었다가 고이 나온 놈이 있는가 말이다!“ 늑대는 학이 아니었다면 목에 뼈가 걸려 죽고 말았을 거예요. 늑대에게 학은 고마운 생명의 은인이었어요. 그런데 늑대가 어떻게 돌변했죠? 안 잡아먹은 것만으로도 감사하라며 도리어 화를 냈어요. 이런 것을 우리는 배은망덕이라고 해요. 옆의 메모지를 함께 읽어요. ”배은망덕이란 베푼 은혜에 보답하기는커녕 은혜를 원수로 갚는 거예요.“

➂ 연계: 이스라엘도 이 늑대처럼 생명의 은인이신 하나님께 배은망덕함을 보였어요. 이스라엘은 은혜를 주신 하나님께 어떻게 했을까요? 성경을 함께 볼게요.

 

(3) 씨앗 심기: 이스라엘의 배은망덕

 

** 활동 목적: 하나님의 은혜에도 불구한 이스라엘의 배반, 이로 인한 하나님의 징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봅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결국 어떻게 하시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합니다.

➀ 질문: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 어떻게 했나요? 빈칸에 알맞은 말을 채워 보세요(9-11절).

➁ 활동: *빈칸 답안: (1)죄 (2)계속 (3)악한 (4)잘 든 (5)밟기

➂ 대화: 완성된 말씀을 읽어요. “(1) 이스라엘아, 너는 기브아 때부터 죄를 지었다. 그 곳 백성이 계속해서 죄를 지어 왔다. 그들이 악한 짓을 저질렀기 때문에 틀림없이 전쟁이 그들을 덮칠 것이다. (2) 이스라엘은 길이 잘 든 암소와 같아서 곡식 밟기를 좋아했다. 그러나 내가 그 아름다운 목에 멍에를 메우고 밭에서 열심히 일하게 만들겠다.” 암소들이 일하면서도 곡식을 자유롭게 먹을 수 있을 만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풍족한 은혜를 주셨어요. 하지만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감사하기는커녕 도리어 은혜를 잊어버렸고 하나님을 떠나 죄를 지었어요.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제 징계하시겠다고 경고하셨어요.

➃ 연계: 이스라엘의 배은망덕한 모습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볼게요.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런 이스라엘에게 어떻게 하실 지도 함께 알아볼게요.

 

(4) 꽃 피우기: 은혜를 잊었어요

 

** 활동 목적: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배신에 대해 맹렬하고 철저한 심판을 내리셨고, 그러나 다시 회복을 약속해 주셨음을 배웁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참으로 풍성함을 느끼도록 합니다.

➀ 질문: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이스라엘 백성은 어떻게 살았나요? 빈칸에 순서에 맞게 번호를 쓰고, 알맞은 말에 밑줄을 그어 보세요(9-12절).

➁ 활동: *답안: (1) ➀하나님의 은혜, 하나님께 은혜를 받았어요.

. .(2) ➁이스라엘의 배은망덕, 하나님을 배신했어요.

(3) ➂하나님의 징계, 벌하셨어요. (4) ➃하나님의 회복, 풍성한 비처럼

➂ 대화: (1) 그림을 보세요. 이스라엘 백성들은 아주 풍족하게 살았어요.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열매도 있었고 마실 수 있는 물도 있었어요. 말 그대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었어요. 이스라엘이 이렇게 풍족하고 강성하게 살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스스로 성공했기 때문인가요? 그렇지 않아요.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은혜였어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들이시고, 적을 물리쳐 그곳에서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지키신 분은 하나님이셨어요. (2) 그런데 이스라엘은 배가 부르게 되자 어떻게 했나요? 하나님께 감사하기는커녕 도리어 하나님을 배신했어요. 듣지도 보지도 못하는 이방의 우상 신들을 섬겼어요. 그 우상들이 자기들을 먹여주고 보호해 준다고 여겼어요. (3) 그러자 하나님께서 어떻게 하셨나요? 배은망덕한 이스라엘을 징계하셨어요. 우리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비록 사랑하는 백성의 죄라 하더라도 그냥 넘어가지 않으세요. 그리고 또한 사랑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벌을 통해서라도 그들이 돌아오기를 원하세요. 하나님은 이스라엘에 철저하고도 맹렬한 심판을 내리셨어요. 이스라엘에서 더 이상 풍족함을 찾아볼 수 없었고, 주변 나라의 침략으로 모든 것이 부수어졌어요. 이스라엘 사람들은 적들의 포로로 끌려갔어요. (4)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하나님께서는 또 은혜를 베푸셔서 이스라엘을 회복시키시겠다고 약속하셨어요. 이스라엘이 잘못된 죄악을 버리고 하나님께 돌아오면, 풍성하게 내리는 비처럼 다시 은혜를 부어주시겠다고 하셨어요.

➃ 연계: 하나님께서는 참으로 은혜가 풍성하신 분이에요. 나는 하나님께 받은 은혜를 잘 기억하고 감사하고 있나요? 넘어가서 생각해 볼게요.

 

(5) 열매 맺기: 은혜를 기억해요!

 

** 활동 목적: 하나님께 받은 은혜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기억하도록 합니다. 받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며 더욱 하나님께 순종할 것을 다짐하도록 합니다.

➀ 질문: 하나님께서 베푸신 은혜를 기억하며 살겠다고 다짐해 보세요.

➁ 대화: (1)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는 무엇인가요? 내가 받아 누리고 있는 것들을 당연하게 누리지 말고, 은혜를 하나씩 기억해 보세요. 사랑하는 가족,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 입을 수 있는 옷, 잠을 잘 수 있는 집, 먹을 수 있는 음식, 공부할 수 있는 여건, 놀 수 있는 여건 등 하나님께 감사를 드려 보세요. (2) 이스라엘처럼 하나님의 은혜를 잊어버리지 말고 기억하세요. 그리고 그 은혜에 마땅히 감사를 드리세요. 감사한 그 마음을 가지고 하나님께 더욱 순종하세요. 그러면 하나님께서는 기뻐하시며, 우리에게 더 크고 더 풍성한 은혜와 선물을 하늘의 비처럼 내려 주실 거예요.

➂ 연계: 하나님의 은혜에 날마다 감사하며 순종할 줄 아는 친구들이 되기 바랍니다.

 

(6) 기도하기

 

➀ 함께 기도: “제가 받은 은혜를 기억하며, 하나님께 늘 감사하며 살게 해주세요.”

➁ 선생님 기도